본문 바로가기

Skillset

[Finance] 주식의 가치평가 방법 (멀티플 VS. DCF)

반응형

안녕하세요 바이오파르크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의 가치평가 기법에 대해서 소개드리겠습니다

주식의 가치평가 방법에는 크게 멀티플을 이용하는 방법과 DCF(Discounted Cash Flow, 현금흐름할인법)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멀티플 방법은 상대적 가치평가 방식에 해당합니다

주가는 EPS x PER로 계산될 수 있는데, 이때 PER이 상대적인 방식에 해당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조사 대상인 회사(타깃회사) 의 매출성장률이나 영업이익률과 유사한 타 회사의 PER을 통해 타깃회사의 주가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것이죠

반면, DCF 방식은 절대적 가치평가 방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가치평가가 가능하지만, 수많은 주관적 가정에 의해서 주식의 내재가치 범위가 상당히 커질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DCF란 한 회사가 미래에 창출할 모든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해서 합산한 가치로, 회사의 내재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때 한가지 주의할 점은, 잉여현금흐름(FCF)의 종류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할인율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Levered FCF(이자비용을 차감한 후의 잉여현금흐름)을 사용하는 경우 할인율은 Cost of Equity를 사용해야 하며 Unlevered FCF(이자비용을 차감하기 전의 잉여현금흐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할인율을 WACC을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