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이오파르크 입니다
오늘은 A.T. Kearney가 발간한 레포트 "How will cultured meat and meat alternatives disrupt the agricultural and food industry"를 통해 배양육에 대한 국내/외 전망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배양육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고기 생산을 위한 자원이 점점 고갈되고 있으며, 인간의 육류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데 있습니다. 육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가축의 대량 생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료 작물의 생산량이 증가되어야 하고 사료작물 생산을 위한 경작지 역시 확대 되어야 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오염 등의 원인으로 일정한 품질의 사료를 일정량 생산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2018년 기준 전 세계 곡물량의 46%가 가축 사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약 7% 정도가 육류 생산으로 전환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인류가 소비하는 작물은 전체 생산량의 약 44%에 해당합니다.
전세계 정육사업은 크게 3단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① 사료의 생산 단계 (시장규모 600조원 이상) → ② 육류로의 가공 단계 (시장규모 400조원 이상) → ③ 도/소매를 위한 유통단계 (시장규모 1,000조원 이상)
전체 단계 중 가장 업체수가 많은 단계는 사료의 생산단계에 해당하며 farmer를 통한 사료 작물의 생산에는 천만개 이상의 player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① 사료의 생산단계에는 사료 생산을 위한 기계, 설비, 장치 및 특정 화학물에 대한 시장을 포함하며 사료가 축사로 이동되는 운반 과정까지 포함됩니다
② 육류로의 가공단계에서 가축들은 먹이를 통해 무게를 증량하고 도축됩니다
③ 도/소매를 위한 유통단계에서는 FMCG (Fast Moving Consumer Goods) 과정이 포함되어 포장 및 처리가 진행됩니다
배양육은 살아있는 가축으로부터 세포를 채취하여 연구실에서 플라스크를 통해 고기로 생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양육의 생산과정도 크게 3단계로 구분되며 세포의 분리, 증식 및 조직으로의 배양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가축으로부터 세포를 채취하는데 주로 골격근에 존재하는 위성세포(satelite cells)를 사용합니다. 이 세포는 배양 시 증식이 잘 이뤄지지 않지만 충분한 세포가 배양되면 근원섬유로 쉽게 분화된다는 장점을 갖습니다. 이렇게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는 배지의 조성입니다. 배양액의 pH, 온도, 배양의 시간, 공기조절, 성장인자 등 여러 외부적 조건에 의해 세포 배양이 달라집니다. 세포 배지에 가장 중요한 물질은 세포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혈청입니다. 혈청의 사용은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서 세포막 투과성, 지질, 효소, 영양소 등의 운반 기능을 하므로 세포 배양의 성공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이 매우 비싸고 세포별로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이러한 배지내에서 세포를 배양하게 대규모 배양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작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세포를 배양해야 하는데, 2D 생산시스템은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3D 공간에서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합니다. 또한 세포 배양육 개발을 위해서는 어떤 줄기세포들이 지방조직 배양에 적합할 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근육세포와 지방세포의 성장 특성은 매우 다르기 때문에 핻아 세포들의 성장 특성을 이해하고, 세포 배양육을 위한 적절한 배양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죠.
배양육의 시장규모는 2030년 140조원 규모의 시장에서 2040년 약 630조원 이상으로 형성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약 41%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GFI(Good Food Institute)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 세계 배양육 기업은 156개로 2019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미국과 영국, 이스라엘이 투자 비중이 높은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배양육의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소부장 시장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Bio Indu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 Insight] 미래에셋증권 - 키워드: CDMO (2024.08.02) (0) | 2024.08.08 |
---|---|
[Market Insight] 하이투자증권 - 키워드: 미국 (2024.05.30) (0) | 2024.08.03 |
[Paper Review] 뇌졸중 치료제 시장 (0) | 2024.08.02 |
미국 BIOSECURE Act가 바이오파마, CRDMO, 투자자들에게 미치게 될 영향 (2024.07.08 업데이트) (0) | 2024.07.29 |
ADC가 대세다 (2024년 7월 24일 업데이트) (0) | 2024.07.29 |